국가공무원 자격증/9급공무원/9급공무원 국어/9급공무원 영어/9급공무원 한국사/9급공무원 행정학/9급공무원 행정법

행정안전부는 각 지자체와 협의해 내년에 지방공무원 4242명을 채용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1999년부터 올해까지 10년간 지방공무원 평균 채용규모(6400여명)의 3분의 2, 올해 채용인원(9300여명)에 비해서는 절반 이하인 46% 정도로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각 지자체가 지방공무원 정년연장과 조직개편 등의 요인을 감안해 애초 계획했던 내년 신규채용 인원(1500명 수준)보다는 3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이며,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095명, 1999년 1628명, 2000년 2491명, 2001년 1785명보다는 많은 것이라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내년 지방공무원 채용 규모를 직급별로 보면 7급 145명, 9급 4010명, 연구·지도사 87명 등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903명, 경기 685명, 인천 383명, 경남 316명, 전남 309명, 부산 236명, 경북 214명, 전북 206명, 충남 198명, 충북 162명, 강원 160명, 광주 119명, 대전 105명, 대구 100명, 제주 80명, 울산 66명 순이다.
행안부는 지방공무원 공채시험에 합격하고도 아직 임용되지 못한 6400명에 대해서도 임용 전에 교육을 실시하고, 각급 1호봉(7급 105만원, 9급 82만원)에 해당하는 급여를 지급하는 ‘임용전 교육’과 ‘실무 수습’을 운영하도록 각 지자체에 권고했다.
행안부는 임용 대기자의 실무수습 비용을 지자체 총액인건비에 반영, 실무수습 운영을 지원하는 한편 임용 대기자를 별도 정원을 통해 임용받을 수 있는 대기기간을 현행 2년에서 1년6개월로 단축할 계획이다.
김준모 기자 jmkim@segye.com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9급공무원/공무원합격수기/공무원공부
일단 결론 부터 말하면 시험은 머리로 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물론 공부는 머리로 한다.. 단 합격을 전제조건으로 한시험은. 아이큐문제가 아니다.
시험은 성격이 합격의 당락을 자우한다.. 지금 글을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하는 사람은 이미 합격하거나 예비 합격인이다.. 여기에 따지고 들이대는
사람은 아직 멀었다 ㅡㅡ;
핵심은 낙천적이고 아무생각없고 무뚝뚝하고 감정도 없고 로봇같은 성격이 합격한다..
공부하다가 이해 안되면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가라, 외우지도 말아라. 합격할 생각도
말고. 즉 완벽하게 공부할 생각말아라. 무조건 책상에만 않아 잇어라. 비가 오나 눈이오나
바람이부나, 크리스마스건 화이트데이건 걍 책상에 않아서 읽어라.. 존내 읽어라.
합격이 목표가 아니라, 존내 읽는 것이 목표다.. 여기서 이해안돼서 스트레스 받거나
추석인데 좀 쉴까? 하는 생각 하는 넘은 게임오바다.. 스트레스,압박을 느끼는 순간
합격과는 멀어진다.. 프로게이머가 꼭 이겨야하는 압박감에 스스로 지는 경우가 태반이다.
게임이 재미있는 이유는 못해도 그만이기 떄문이다.. 시험은 꼭 합격해야 하는 압박때문에
시작하기도 전에 지친다.. 이제는 부정적인 상상이나 생각이들면 빠르게 생각을 지워라.
머리를 비우고 책만 읽자.. 계속 읽다보면 초딩교과서 처럼 익숙해진다..
책내용은 어려운게 아니라 익숙하지 않을뿐이다.. 존내읽어서 익숙하게 만들자.
이 글읽고 합격 할수 없다고 말하는 쓸데 없이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분명 있을거다.
다시말하지만 합격이 목표가 아니다. 너의 목표는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는것이다..
일단 태클 건 사람은 합격 멀었다..ㅡㅡ
어쨋든 조낸 읽으면 합격한다.. 무조건 절대 합격이다.
근거 같은건 없다. 꼭 합격하게 되어있다... 그러니깐 떨어진다는 생각은 할 가치도 없다
조낸 읽는 건 필요없고 확실히 이해를 해야 한다는 사람은 공부를 많이 안해본 초보다.
처음볼때 완벽한 이해는 원칙적으로 불가능이다..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다. 원래 그렇다..
조낸 읽는 이유는 이해나 암기가 목적이 아니다.. 체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단순한 이해나 암기론 합격은 어림 반푼어치도 없다.
공무원은 전문가를 뽑는 시험 이다.. 전문가는 어떤 고통스러운일을 지겹도록해서
그일이 도락화 된 사람들이다..
시험 문제를 풀때 시간이 부족하거나, 문제 푸는데 생각이 잘안나서 괴롭거나,
기본서가 스크린되지 않으면 아직 기본서가 체화 되지않은 허접탱인것이다..
답은 생각 하지 않아도 바로 튀어나와야 한다.. 영어는 머리로 생각 하는 과목이 아니다..
즉 점수가 안나오고 떨어지는건 무조건 회독수가 부족해서이다..
고작 5회독 해놓고 합격을 바라는 사람은 당장 떠나라 ..
결론은 15회독까지 끌어 올려라.. 무조건 15독이다.. 14독 16독 이딴거 없다..
합격수기 공부량 다 구라니깐 휘둘리지 말고 제대로 한번 하자..
지겨워서 토할거 같아도 읽어라.시간은 전혀 부족하지 않다.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빨라진다..
일단 15독 완성되고 시험보면 시험지 채점 할필요도 없다.
합격했다는걸 알정도의 경지이다.. 어설프게 공부하면 안된다.
다시말하지만 효율적 공부방법찾고,즐겁게 공부하는것을 찾는것은
영화를너무 많이본사람이다ㅡㅡ
이바닥은 지겹고 무한반복만 있을뿐이다.
출처 : Tong - 공부랄랄님의 9급공무원통
9급공무원/9급공무원 국어/9급공무원 영어/9급공무원 ..
10급 공무원 초보자를 위한 공부안내 → 직렬 선택
→ 공무원 공부를 할때에는 체계적으로 준비
즉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대로 실행해 나가는 것입니다. 오늘은 어떤 과목을 공부를 할 것인가? 하루에 두 과목을 할 것인가? 혹은 세 과목을 할 것인가? 얼마만큼의 학습분량을 하루 동안 공부할 것인가? 하루에 한 과목을 몇 시간동안 학습할 것인가? 등을 철저하게 준비를 하시고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수험생에게 닥치는 슬럼프
슬럼프를 극복하지 못하면 학습 페이스를 잃게 되고 극단적으로는 오랜 동안 해오던 공무원 공부를 포기까지 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항시 공부를 시작할 때에는 할수 있다라는 자신감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 종일 그런 기분을 가지고 있다면 바랄 나위가 없습니다. 그만큼 자신감이 강해야 합니다. 그런 마음에서 의지력이 나오고 또한 강한 의지력만이 공무원 시험에서 합격이라는 곳에 근접할 수 있습니다. 수험생에게는 할 수 있다는 정신 자세가 중요합니다.
→ 기출문제의 철저한 파악을 통한 기본서 보안
기본서를 철저하게 학습한 후에도 과년도 기출문제를 철저하게 파악을 하고 많은 문제를 풀면서 기본서를 보완해 나갑니다. 그렇게 되면 기본서가 어느 정도 완벽한 수험서가 될 것입니다. 그 수험서를 다시 한번 반복 학습하시고 시험 약 한달 전 혹은 3주전부터는 계속 문제풀이로 최종학습을 하며 실전 적응 훈련을 하시는 것입니다. 틀린 문제는 꼭 체크를 하시고 나중에 다시 볼 때는 틀린 문제만 집중적으로 확인을 해 나가시는 방식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 시간 안배 훈련
실제 시험에서는 긴장된 마음으로 아는 문제가 기억이 잘 안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그 문제로 오랜 시간을 끌게 되면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르게 되었을 때 영어나 국어 등 긴 지문이 나오는 과목 때문에 시간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되면 아는 문제도 시간이 없어서 못 풀고 찍고 나오는 경우가 많게 됩니다. 그러면 합격에서 멀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시간 안배 훈련을 꼭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간 안배 훈련은 어떻게 보면 실제 시험에서 실력을 쌓는 일 다음으로 중요한 일이며 그것이 제대로 안 돼서 실력은 있지만 합격을 못하는 분들이 다소 있습니다.
→ 문제 푸는 방법
실제 시험을 위해서는 우선 실력을 확실하게 쌓고 시험 전에 문제 푸는 과목 순서를 정하여야 하고 그 연습을 꾸준히 하여야 합니다.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문제는 얼른 넘기고 다음 문제를 푸는 연습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국어를 먼저 풀 것인가? 영어를 먼저 풀 것인가? 혹은 다른 과목을 풀 것인가? 등도 생각을 하셔서 나에게 어떤 순서가 잘 맞는가를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Tong - 공부랄랄님의 9급공무원통
9급공무원/9급공무원 국어/9급공무원 영어/9급공무원 한국사/9급공무원 행정학/9급공무원 행정법
[공무원시험대비] 전과목 핵심 총정리-마지막일차
[국어 막판 정리]
▒ 소설의 구성단계 ▒
1. 발단
등장인물의 소개, 배경의 설정, 사건의 방향과 작품의 분위기 제시
2. 전개
사건 진행, 갈등과 분규가 일어나는 단계
3. 위기
새로운 사태의 발발 혹은 갈등과 분규가 심화되는 관계
4. 결정
갈등과 대립이 최고조에 이르는 단계로 주제가 암시
5. 결말
갈등의 해소, 주제의 확정 단계
[영어 막판 정리]
▒ 집합명사 ▒
1. 집합개념 & 군집개념
* My family is a large one.
* My family are all risers in the morning.
→ 각각의 구성요소가 의미전달에 무난하면 복수취급
2. 분류
① police형 : 항상 the 붙임, 단수형태, 복수취급
police, clergy, jury, gentry, nobility, peasantry, elite..
② family형 : the 붙임, 단수취급(단위개념), 복수취급(군집개념)
family, committee, class audience, crew..
③ cattle형 : 무관사, 단수형태, 복수취급
cattle, vermin, poultry, people, livestock...
[한국사 막판 정리]
▒ 원 간섭기와 공민왕의 반원개혁정치 ▒
1. 원의 내정간섭
(1) 영토 상실
① 쌍성총관부(화주)
② 동녕부(서경)
③ 탐라총관부(제주)
(2) 관제 격하 : 2성 6부 ⇨ 1부 4사
(3) 내정 간섭 : 정동행성, 다루가치
(4) 경제 수탈 : 금, 은, 약재, 매 등
2. 공민왕의 반원 개혁정치
(1) 배경 : 14C 후반 원·명 교체기
(2) 반원 자주 정책
① 기철 등 친원세력 숙청
②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③ 쌍성총관부 공격, 관제 복구
(3) 왕권 강화 정책
① 신진사대부 등용
② 전민변정도감 설치, 정방 폐지
[행정학 막판 정리]
▒ 롤스의 정의론 ▒
1. 정의의 제원칙
(1) 제1원칙(평등한 자유의 원칙)
(2) 제2원칙(차등조정의 원칙)
① 기회균등의 원리
② 차등의 원리: 최소극대화의 원칙
(3) 양 원칙의 관계: 제1원칙이 제2원칙보다 우선
2. 한계
(1) 우파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비판
(2) 좌파에서는 “바람직한 불평등의 개념”을 비판
(3) 무지의 베일은 너무 인위적이라는 비판
(4) 정치적 권리에 지난친 우선순위 비판
[행정법 막판 정리]
▒ 불확정개념 ▒
(1) 의의
공공이 복지· 공적 질서· 위험 등의 용어와 같이, 그 의미내용이 다의적이라 진정한 의미내
용이 구체적 상황에 따라 판단되는 개념
(2) 불확정개념의 종류
① 경험적(객관적)개념: 객관적인 경험법칙에 의해 확정할 수 있는 개념으로 목적물, 현실
적인 사건 또는 경험적 대상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것. ex) 주간· 야간, 공공복리증진, 장해
② 가치판단의 객관적 기준이 없는 것 ex) 공익, 신뢰성, 필요성, 공적 질서, 중요한 , 적당
한
출처 : Tong - 공부랄랄님의 9급공무원통